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의 왕 들33

인종_고려 인종(1109년 10월 29일~1146년 4월 10일)은 고려의 17대 왕입니다. 그는 예종과 이자겸의 딸인 선덕여왕의 장남이었습니다. 그의 치세는 고려 왕조를 거의 종식시킨 두 개의 큰 내부 위기, 북송 왕조의 붕괴, 동아시아의 지배 세력으로 금 왕조가 수립된 것을 경험해야만 했습니다. 당시의 정세 국내의 상황 인종은 태조 10계명(훈요10조)의 세번째에 따라 정통 왕으로 즉위하였습니다. 태조 10계명의 지위에도 불구하고 규칙은 종종 무시되었습니다. 1095년 인종의 할아버지인 숙종이 조카 퇴위 후 인종은 12세에 외할아버지 이자겸의 영향으로 후계가 가능해졌는데, 송나라의 글에 따르면 인종의 숙부인 대방공은 한안인 일파의 지지를 받아 왕위를 계승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알려졌습니다. 국외의 상황 1122.. 2024. 1. 24.
예종_고려 예종(1079년 2월 11일 ~ 1122년 5월 15일)은 고려의 16대 왕입니다. 숙종과 명의왕후의 장만으로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왕위를 계승하였습니다. 그의 치세는 보통 예술과 철학이 번성하고 국경 경비를 확보하기 위한 군사 강화 정책이 시행된 고려에서 황금기 중 한 시대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생 예종(왕우)는 문종 재위 33년만인 1079년 태어났고 1095년 헌종을 퇴위시키고 왕이 된 숙종과 명의왕후의 장남이었습니다. 1100년 21세에 세자가 되었고 1105년 숙종이 개경으로 돌아오는 중 사망하자 황이 되었습니다. 즉위하자마자 예종은 숙종때 발생한 여진족과의 갈등에 직면해야함을 깨달았습니다. 11세기 말에는 완안부를 중심으로 한 여진족이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균형이 흐트러지고.. 2023. 10. 20.
헌종과 숙종_고려 헌종 일생과 죽음 헌종(1084년 8월 1일 ~ 1097년 11월 6일)은 고려의 14대 왕으로 선종의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헌종은 9세에 글쓰기가 뛰어날 정도로 총명한 아이였지만 어려서부터 병약했습니다. 11세의 어린나이로 왕위를 물려받아 어머니인 사숙태후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었습니다. 즉위하던 해 헌종은 이자의의 난이 일어났고 곧 진압되었으나 병약했던 헌종은 3개월 후 병을 핑계로 계림공에게 선위하고 물러났고 2년 뒤 사망하였습니다. 능은 개성에 위치한 온릉 입니다. 숙종 일생과 죽음 숙종(1054년 9월 2일 ~ 1105년 11월 10일)은 고려의 15대 왕입니다. 숙종은 1095년 조카였던 헌종이 선위하게 되면서 왕으로 즉위하였습니다. 숙종은 주전도감을 만들어 주화를 만들어 유통했고, 폐지되었던.. 2023. 10. 20.
정종, 문종, 순종, 선종_고려 정종 정종(1018년 8월 31일 ~ 1046년 6월 24일)은 고려의 10대 왕으로 현종의 둘째 아들이자 덕종의 동생입니다. 일생과 죽음 정종은 1022년 4세 때 내사령 평얀군으로 책봉되었습니다. 정종은 국방에 많은 관심이 있어 재위 초기부터 북쪽 국경을 따라 성곽을 축조하기 시작했습니다. 1037년 북쪽의 거란족의 침략을 받았고 1044년에 천리장성이 완성되면서 북쪽에 거대한 성벽이 생겼습니다. 정종은 1036년에 궁핍한 병사들에게 국토를 분배하는 등 군의 물질적 지원에도 관심이 있었습니다. 또한 조선의 세종, 영조도 시행했던 노비종모법을 제정하기도 했습니다. 정종 재위기간은 고려의 황금기라 부를 수 있는 문종의 시대의 발판을 만들고 준비하는 기간이었습니다. 정종은 재위 12년만인 29세의 나이로 .. 2023. 10. 19.